최근 ‘국민참여 정책형 뉴딜펀드’의 출시로 뉴딜 산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 펀드는 뉴딜 관련 산업과 기업의 성과를 국민과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취지로,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뉴딜펀드 개요
정책형 뉴딜펀드와 개인 투자
정책형 뉴딜펀드는 뉴딜 관련 기업의 주식, 채권, 주식연계증권 등에 투자하는 공모형 금융상품입니다. 2021년 1차 조성 목표액은 2,000억 원이며, 개인 투자자는 1,370억 원 규모의 자금을 모집할 수 있습니다. 이 펀드는 최대 21.5%까지 손실을 보전해 주며, 가입 후 4년 이내에 중도 해지나 환매가 불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민간 뉴딜펀드의 등장
민간 뉴딜펀드는 주요 뉴딜 산업 상장기업에 투자하는 ETF 형태로 운영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BBIG K-뉴딜 ETF’와 ‘K-뉴딜 디지털플러스’, ‘탄소 효율 그린 뉴딜’ 등이 있으며, 이들 펀드는 2020년 10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총 35개가 출시되어 약 2조 8,000억 원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뉴딜 인프라펀드의 중요성
펀드의 구조와 세제 혜택
한국판 뉴딜은 크게 정책형, 민간, 인프라펀드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 뉴딜 인프라펀드는 사회적·경제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투자 창구로, 정부는 배당소득에 대해 2억 원 한도에서 9%의 세율로 분리과세를 시행하여 국민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뉴딜 사업의 범위
뉴딜 인프라펀드는 모든 뉴딜 관련 사업에 50% 이상 투자해야 하며, 이는 정부가 발표한 47개 분야, 197개 투자 대상 가이드라인에 기반하여 결정됩니다.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뉴딜 인프라펀드의 운영과 투자
투자 심의 및 운영
정부는 뉴딜 인프라펀드에 대한 심의를 위해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발족하였습니다. 이 위원회는 투자 대상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외부 전문가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내립니다.
국내 1호 뉴딜 인프라펀드
신한자산운용이 발표한 첫 번째 뉴딜 인프라펀드는 총 2,419억 원 규모로, 경북 봉화에 60MW 규모의 풍력발전소를 조성하는 프로젝트에 투자합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에게도 투자 기회를 제공하여 주민 수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뉴딜펀드는 어떤 특성이 있나요?
뉴딜펀드는 정책형과 민간형으로 나뉘며,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정책형 펀드는 손실 보전 구조를 통해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뉴딜 인프라펀드의 투자 분야는 무엇인가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하며, 정부가 정한 47개 분야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자산을 운용합니다.
개인 투자자는 어떻게 뉴딜펀드에 참여할 수 있나요?
민간 금융회사가 판매하는 민간 뉴딜펀드에 가입하거나 정책형 뉴딜펀드에 직접 투자할 수 있습니다.
뉴딜 인프라펀드의 세제 혜택은 어떻게 되나요?
뉴딜 인프라펀드는 2억 원 한도 내에서 9%의 세율로 배당소득을 분리과세하여 세제 혜택을 제공합니다.
뉴딜펀드의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요?
한국판 뉴딜의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고, 민간 자본을 유도하여 뉴딜 관련 인프라 투자를 촉진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