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 실업급여 신청 가이드



퇴직 후 실업급여 신청 가이드

퇴직 후 실업급여는 한 번에 지급되지 않고 매달 지급되며, 최대 9개월 동안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 기간은 실직 당시의 나이와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실업급여 신청 방법과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실업급여 신청 준비

워크넷 홈페이지 구직 등록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워크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구직 등록을 해야 합니다.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서 구직 신청을 진행합니다.



고용보험 홈페이지 교육 이수

구직 등록 후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한 뒤,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이는 실업급여 수급에 필요한 필수 교육입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실업급여 신청 절차

온라인 신청하기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개인서비스” > “실업급여 신청” > “수급자격 신청서 인터넷 제출”을 차례로 진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인터넷을 통한 신청이 완료됩니다.

고용센터 방문

신청 후 14일 이내에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1차 실업인정 현장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실업급여 지급이 확정되며, 보통 그 다음날 지급이 이루어집니다.

실업인정 교육

교육 종류 및 방식

1차 실업인정 교육은 오프라인으로만 진행되며, 2차부터 4차까지는 온라인으로 수강이 가능합니다. 이 교육에서는 실업급여 수급 조건과 구직활동 방법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집니다.

교육 날짜 변경 방법

만약 개인적인 사정으로 1차 실업인정 교육에 참석할 수 없는 경우, 교육 날짜를 한 번만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용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변경
– 고용센터에 전화(☎1833-6000)하여 변경 요청
– 고용센터에 직접 방문하여 변경

실업급여 수급 절차

실업급여 지급 과정

1차: 온라인 교육 이수 후 신청
2차~3차: 워크넷에서 구직활동을 통해 실업인정
4차: 고용센터 방문하여 실업인정
5차 이후: 4주에 2회 실업인정, 그 중 1회는 구직활동 포함

구직활동 인정 범위

구직활동은 구직 활동과 구직 외 활동으로 나뉘며, 다음과 같은 활동이 포함됩니다:
구직 활동: 회사에 이력서 제출, 면접 참석, 채용 행사 참여 등
구직 외 활동: 직업 훈련, 교육 수강, 사회봉사 등

자주 묻는 질문

실업급여는 언제 지급되나요?

실업급여는 신청 후 14일 이내에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교육을 이수하면, 보통 그 다음날 지급됩니다.

실업급여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가요?

실업급여 신청 시 구직등록증과 공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구직활동은 어떻게 인정되나요?

구직활동은 취업 면접, 이력서 제출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되며, 구체적인 인정 기준은 고용센터 또는 워크넷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 날짜 변경은 몇 번 가능하나요?

1차 실업인정 교육 날짜는 한 번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와 관련된 문의는 어디에 하나요?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1833-6000) 또는 가까운 근로복지공단 소속기관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이전 글: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천연가스 주식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