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엑셀 급여 관리 자동 계산 서식 안내



2021년 엑셀 급여 관리 자동 계산 서식 안내

2021년을 맞아 엑셀을 활용한 급여 자동 계산 양식 만들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시급, 월급, 근로시간, 4대보험, 소득세, 주휴수당 계산을 위한 수식 작성 방법을 소개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엑셀 급여 계산의 기초

급여 계산 공식

출퇴근 시간을 기준으로 급여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근로시간 × 시급) + 주휴수당 – 세금(4대보험 및 소득세) = 월 급여



주휴수당 이해하기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1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경우에 주어지는 유급 휴일을 의미합니다.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1주 동안 회사와 계약한 소정 근로일을 채워야 함.
2.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함.

예를 들어, 주 5일 근무하고 하루 3시간씩 일하는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3일만 일하는 경우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4대보험 요율

4대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이 포함됩니다. 각 보험의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연금: 9% (근로자 4.5%, 사업주 4.5%)
– 건강보험: 6.86% (근로자 3.43%, 사업주 3.43%)
– 고용보험: 근로자 0.8%, 사업주 0.8%

이와 함께 산재보험은 모든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적용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급여 자동 계산 양식 만들기

기본 양식 시트 구성

엑셀 시트는 총 3개로 구성됩니다.
1. 기본 양식 시트: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부분과 자동으로 계산되는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2. 근로소득간이세액표 시트: 소득세를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한 참조 시트입니다.
3. 참조 시트: 주휴수당 및 4대보험 요율 등의 변동사항을 관리하는 시트입니다.

수식 작성 방법

  1. 날짜 자동 입력: DATE 함수를 사용하여 연도와 월을 참조하여 날짜를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excel
    =IFERROR(DATE(E2,F2,1),"")
  2. 요일 및 주차 계산: TEXTWEEKNUM 함수를 활용하여 요일과 주차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excel
    =TEXT(D5,"AAA")
    =IFERROR(WEEKNUM(D5)-WEEKNUM(D5-DAY(D5)+1)+1,"")
  3. 출근일수 계산: COUNTIFS 함수를 사용하여 출근일수를 계산합니다.
    excel
    =IF(AND(COUNTIFS(참조!$C$2:$C$21,기본양식!D5)=1,COUNTIFS($E$5:$E$35,"<>",$B$5:$B$35,B5)<1),1, COUNTIFS($E$5:$E$35,"<>",$B$5:$B$35,B5))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답변: 주휴수당은 1주 근로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40시간 미만일 경우 ‘(1주 총근로시간 / 40시간) × 8시간 ×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40시간 이상일 경우 ‘8시간 × 시급’으로 계산합니다.

질문2: 근로소득세는 어떻게 산출하나요?

답변: 근로소득세는 근로소득간이세액표를 기반으로 총 급여액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 산출됩니다. 변경된 세액표를 확인하려면 국세청 홈텍스를 참조하면 됩니다.

질문3: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

답변: 2021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8,720원입니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1,822,480원이 됩니다.

질문4: 4대보험 요율은 무엇인가요?

답변: 4대보험 요율은 국민연금 9%, 건강보험 6.86%, 고용보험은 근로자 0.8%와 사업주 0.8%입니다. 각 보험의 요율은 변동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문5: 근로시간 계산 시 유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답변: 퇴근시간이 24:00을 초과할 경우 출근시간보다 퇴근시간이 작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식 작성이 필요합니다.

이전 글: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발급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