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시행되는 아동수당과 부모급여는 아동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복지 제도로, 각기 다른 조건과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제도의 핵심 내용과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아동수당이란?
아동수당의 기본 개요
아동수당은 만 0세에서 7세까지의 아동에게 매달 10만 원이 지급되는 제도입니다. 이 수당은 출생일 기준으로 만 8세 생일 전날까지 제공되며, 양육 형태나 소득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에게 보편적으로 지급됩니다. 신청만 하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복지 제도입니다.
신청 방법
아동수당은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며, 신청은 ‘복지로’ 웹사이트를 통해 가능합니다.
부모급여란?
부모급여의 기본 개요
부모급여는 만 0세에서 1세까지의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에게 월 50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이 제도는 2023년에 도입되어 2025년부터 확대 시행될 예정입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현금으로 전액 수령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만 0세 아동은 최대 100만 원, 만 1세 아동은 5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부모급여는 보건복지부의 주관 하에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공통점 vs 차이점 비교
| 항목 | 아동수당 | 부모급여 |
|---|---|---|
| 지급대상 | 만 0~7세 아동 | 만 0~1세 아동 양육자 |
| 지급금액 | 월 10만 원 | 월 50~100만 원 |
| 지급기간 | 최대 96개월 | 최대 24개월 |
| 어린이집 이용 | O | X |
| 신청 필요 | O | O |
| 소득조건 | 없음 | 없음 |
| 주관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
중복 수급 가능성
아동수당과 부모급여는 중복 수급이 가능합니다. 아동수당은 모든 아동에게 지급되며, 부모급여는 0~1세 영아의 부모에게 제공되므로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1월에 태어난 아기는 아동수당 10만 원과 부모급여 최대 100만 원을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추천 조합
상황에 따라 가장 유리한 수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집에서 육아 중인 경우: 부모급여 현금 + 아동수당
- 어린이집에 보내는 경우: 아동수당 +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 조부모가 육아하는 경우: 부모급여(가능) + 아동수당
자주 묻는 질문
아동수당과 부모급여의 신청 방법은?
아동수당과 부모급여 모두 ‘복지로’ 웹사이트나 해당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두 제도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네, 아동수당과 부모급여는 중복 수급이 가능하여 두 가지를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아동수당의 지급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아동수당은 최대 96개월 동안 지급됩니다.
부모급여는 언제부터 확대되나요?
부모급여는 2025년부터 확대 시행될 예정입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으면 어떤 금액을 받을 수 있나요?
부모급여를 신청할 경우,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으면 최대 100만 원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 조건은 있나요?
아동수당과 부모급여 모두 소득 조건이 없어서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방산주와 방위산업 관련주 36종목 총 정리